천체사진(Astro Image)/별(Star)

[도시에서 찍는 별] M42 - 17.12.11. Pegasus 80mm, 600D

한빛나 2017. 12. 12. 14:44

[도시에서 찍는 별] M42 - Pegasus 80mm, 600D


안녕하세요. 

어제도 옥상에서 M42를 담아봤습니다. 


90초 3장, 60초 4장, 45초 1장, 30초 1장 ISO1600 / 총 9장, 총 585초

많이 크롭, 많이 리사이즈

APT, DSS Stack, Photoshop CS6 등

NEQ6, Pegasus 80mm, 600D, 안시용 UHC 필터(DGM NPB 필터)



+추가 - 다시 살짝만 보정해봤습니다.



EQMOD 연결이 안되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시간을 다 보냈는데,

이유는 모르지만 갑자기 연결이 되더군요. 

근데 synscan 펌웨어 로더에서는 인식을 못하네요. 엄매... ^^;;


두 노트북에서 테스트해보고 EQMOD  ini 파일도 삭제해보고 드라이버도 다시 깔아보고 등등의 작업을 해봐서 소프트웨어의 문제는 아닌듯 한데

케이블이 문제인지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근데 이미 노트북 배터리가 거의 다되서 이런 저런 테스트를 하다보니 거의 방전까지 간 상태가 되버렸습니다.

그래서 테스트하면서 찍었던 몇 장으로 처리해봤습니다.


찍고 처리하는 것보다는 아직 APT를 다루는 데 더 관심이 가네요. 

소프트웨어를 만지는 게 재밌습니다. ^^;;


불모산에서 해봤던 APT plate-solving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Astrotortilla에서 solve-recenter를 하면 화각 가운데 딱딱 넣어주는데,

APT에서 스크립트로 #SolveSync를 먼저하고 #SolveGoto를 하면 센터링을 해줄 것 같았는데

Solve 자체는 계속 성공이라고 상태창에 나오는데 계속 화각의 가운데보다 위쪽으로 M42를 가져다 놓더군요. 

APT object 상 M42의 적경 적위가 Cartes du ciel과 달라서 그런가 싶어

Cartes du ciel에 나오는 M42의 적경 적위로 #SolveGoto 명령을 줘봤는데도 별반 달라지는 것은 없었습니다. 

APT에서 #LoadImage 와 SolveGoto 조합을 해서 쓰는 것도 좋다고 해서 테스트 해보려고 하는데 딱 1번 테스트하고 노트북이 꺼져버려서 잘 되는건지 검증을 못하겠네요. 


가이드를 안하다보니 SolveSync와 SolveGoto 등 APT의 PointCraft 기능을 잘 쓰면 촬영이 한결 수월해질 것 같은데 아직은 원하는 대로는 안되네요. 우선 PointCraft에서 plate-solve을 위해 불러오는 프로그램인 PlateSolver의 parameter를 조금 수정했는데, plate-solving 자체는 성공으로 뜨고 있어 개선이 될지 모르겠네요. 

Astrotortilla와 PlateSolver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다른 것이 영향을 주는걸까요? 


APT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Plan을 어떻게 짜는지 궁금합니다. 


오늘 밤에 시간이 되면 Astrotortilla를 배제하고 #LoadImage 와 SolveGoto 조합, #SolveSync #SolveGoto 조합을 테스트해봐야겠습니다.

또 SharpCap 극축 정렬의 아이디어인 PhotoPolarAlign도 한번 테스트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