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위로

행성을 찍으시는 분들 중 가장 핫한 Christopher Go와 Damian Peach의 행성 촬영 관련 자료를 공유합니다.

간단하게 요약하고 군말을 덧붙여보자면

0. 시상(Seeing, 대기 안정도)이 가장 중요하다.

+ 우리나라는 제트기류의 영향으로 시상이 안 좋다.

+ 해가 질 무렵의 초저녁 때 시상이 일반적으로 좋은 편이다.

1. 장비

+ 망원경 : 망원경의 구경이 크면 더 크게 찍을 수 있다. 냉각과 광축은 기본이다.

* SCT가 가장 많이 쓰임

+ 카메라 : 빨리 찍고, 노이즈가 적고, 감도가 좋은 게 좋다.

* 칼라 카메라 VS 흑백 카메라

- 칼라 카메라 : 싸고, 간편하게 찍을 수 있고 처리도 편하지만 감도가 떨어짐

- 모노 카메라 : 감도가 좋지만 컬러 이미지를 위한 적녹청(RGB) 필터, 필터를 바꾸어 가며 찍기 위한 필터 휠 등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카메라 자체도 칼라 카메라보다 비싸며 처리 과정이 복잡함

- 최근에는 CCD 칩을 쓴 카메라보다 CMOS 칩을 쓴 카메라를 많이 쓰는 경향이 있음

예) ASI120, ASI174, Skyris132, QHY5L-II 등, 세계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카메라는 ASI120임(출시된지 얼마된지 않은 ASI174 사용자도 느는 추세지만 ASI120 등의 다른 카메라와 성격이 약간 다름)

+ 바로우 : 확대 촬영을 위해 필요함, 안 좋은 바로우를 쓰면 빛의 손실이 많고 색수차 등이 심하게 생길 수 있음

+ 전동 포커서 : 망원경에 손을 대지 않고 초점을 맞출 수 있어 상의 흔들림 없이 편안하게 초점 조절이 가능, 대부분 필수적으로 장착함.

+ 플립 미러 : 아이피스와 카메라를 함께 장착할 수 있어 아이피스를 보고 카메라의 화각 가운데에 쉽게 대상을 위치시키는 게 가능함

+ 진동 방지 패드 : 삼각대 아래에 설치해서 진동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음

+ 모노 카메라 사용시 RGB 필터, 필터 휠(전동 필터 휠이 편함) 등이 추가로 필요함.

2. 동영상 촬영(Capture)

+ 프로그램 : FireCapture(http://firecapture.wonderplanets.de/download.html,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로그인 창이 뜨는데 이름에 firecapture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칸은 비우고 진행하면 다운로드 됨), SharpCap(http://www.sharpcap.co.uk/sharpcap/downloads, contrast detection 기능을 이용하면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됨)

+ 초점을 맞추는 데에 공을 들일 것

+ 가능한 빠른 속도로 촬영

+ 노출(Exposure), Gain(카메라의 ISO와 비슷한 개념)과 Gamma를 적절히 조정(Christopher Go는 Gamma를 사용하지 않음)하고 대상별로 촬영 길이를 고려하여 캡쳐

* 목성 : Histogram level을 RGB 채널 모두에서 80~90%, 2분 내로

* 토성 : Histogram level을 R과 G 채널은 50%, B 채널은 30%, 3분 내로

* 화성 : Histogram level을 R은 80~90%, G는 60~70%, B는 30~40%, 4분내로

+ 파일 이름에 날짜와 UT(Universal Time)가 포함되도록 설정(Winjupos 이용시 필요)

3. 합성(Stacking)

+ 합성(Stacking) : 촬영한 여러 장의 이미지를 쌓아 노이즈를 줄이고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이미지로 만드는 과정

+ Stacking 프로그램 : Autostakkert! (http://www.astrokraai.nl/software/latest.php)

- Drizzle을 이용해 이미지를 크게 하여 처리 가능

- 이미지가 가운데에 오도록 처리해주어 추후 다른 처리 과정이 편리함

- 사용법은 정병철님이 작성한 매뉴얼 참조(http://astrosky.tistory.com/414)

4. 선명하게 하기(Sharpening)

+ 합성한 이미지를 선명하게 만드는 과정

+ Registax(http://www.astronomie.be/registax/) Wavelet을 많이 이용

5. 후처리

+ 보통 PhotoShop을 이용해 색감, 밝기 등 기타 처리를 함

6. 기타

# 흑백 카메라로 촬영한 경우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RGB채널별 이미지를 합쳐줘야 함.

# 더 많은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해서 Winjupos의 De-rotation 기능을 사용하기도 함.

* 행성은 촬영 시간의 제한이 있고 긴 시간 동안 촬영한 결과를 합성하면 표면 무늬 등이 흐르는 현상이 생긴다. 이는 행성의 자전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De-rotation(거꾸로 돌림)으로 행성의 자전으로 생기는 현상을 어느 정도 보정 가능하다.

* Christopher Go의 경우 목성은 10분 내외(4set), 토성은 거의 1시간 정도 까지 De-rotation 해 이미지 처리를 함.

* 사용법은 제가 쓴 간단 설명(http://blog.naver.com/crad43/220384655381)과 정병철님의 설명서(http://astrosky.tistory.com/408, http://astrosky.tistory.com/415)를 참고해주세요.

# 이미지 처리에 대한 많은 실험을 하면 자기에게 맞는 이미지 처리법이 정립됨

# 국내 참고 자료

+ 정병철 님 블로그 : http://astrosky.tistory.com/category/Tips%20%26%20Tech.

(Damian Peach DVD 해설, Autostakkert!, Registax 등 행성 촬영 관련 설명서 및 팁이 있음)

+ 두루별님의 목성 촬영과 이미지 처리(좋은 글) : http://sbrngm.tistory.com/267

* 국내에서 행성 촬영하시는 분 중 최상위 클래스라고 생각함. 8인치로 엄청난 이미지를 촬영

+ 새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