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위로



이번 주말 독서 관련 봉사하러 거창한마당축제에 갔습니다. 
월성 청소년 수련원에서도 바로 앞에 부스를 운영하고 있더군오. 태양관측을 하는 것 같아 봤더니 홍염이 딱하니 있었습니다. 

무식했던 저로써는 처음보는 장비였습니다. 코로나도에 쌍안장치를 해놨더군요. 

매번 태양 관측할 때 한 눈으로 보니 살짝 움직이면 시야밖으로 사라지는게 귀찮았었는데. 쌍안으로 보니 시야에 떡하니 들어오고 두 눈으로 봐서 그런지 더 잘보이더라고요. 

그리고 어제 daystar 80mm 태양 망원경으로 꺼냈습니다. 매번 태양 관측할 때 흑점에만 집중했었는데 홍염이 보이는가 테스트 해보려구요.

기대하고 파인더로 위치를 잡고 보는데. 왠걸 그 날 봤던 느낌이랑 많이 달랐습니다. 거창에서 봤던 홍염의 수는 많았는데. 딱 하나가 보이는겁니다. 내심 실망하고 이 망원경이 그 망원경에 비해 성능이 딸리는구나 하며 장비를 집어 넣었습니다. 

오늘 금방. 다시 올라왔습니다. 어제는 해가 질때라 그랬나 싶어. 중천에 떠 있을 때는 뭐가 다르겠지 하는 기대감을 품고. 

장비를 펴고 태양을 보는 두둥.. 홍염이 안보입니다.. 이런... 
대실망을 하고 접으려고 할 때. 
daystar망원경에 전기 꼽는 부분이 있다는게 생각나 꼽아보았습니다.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잘 몰랐지만. 꼽아도 뭐 달라지는거 없겠지하고 실제로 전원을 넣고 본건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전원으로 무슨일을 하는지 전원부에 색깔이 붉은 색에서 녹색이 되기 까지 수분이 걸립니다. 잠시 화장실 다녀온 사이 녹색이 되있었습니다. 또 실망할까봐 그 사이에는 보지도 않고 있었던터라 설레기 시작했습니다. 

드뎌 눈을 가져갑니다. 와. 
홍염이 보입니다. 많이 보입니다. 높은 놈 넓은 놈 작은 놈 뜬놈 붙은 놈 똑바로 솟은 놈 삐죽이 솟은 놈 다양한 녀석들이 보입니다. 계속해서 쭉 훑어봅니다. 

다시 흑점을 봅니다. 뚫어져라 봅니다. 그러다 보니 태양에 무늬가 슬쩍 눈에 들어오더군요. 신기합니다. 

태양관측이란게 흑점만 보는건지 알았는데. 직접 홍염이랑 무늬를 보니 정말 태양도 볼만한 대상이더군요. 

이때까지 장비를 써카고 있던.. 게 아쉽고. 
장비의 성능을 극한으로 올려라던 많은 분들의 말이 떠올랐습니다. 가지고 있는 장비를 더 아끼고 사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 대상들은 나름 안시만으로 만족했는데 태양은 꼭 한번 찍어보고 싶습니다. 스마트폰 어포컬로 시도를 해봤는데. 
잘 안찍히더군요. 방향이랑 초점도 잘 못맞추겠고요. 

카메라 연결 장비를 사서 한번 꼭 찍어봐야 겠습니다. 

태양. 너. 재밌는 놈이었구나.

맨 위로

처음 찍은 달 어포컬입니다.
라이트브릿지 12인치 돕소니안에다 옵티머스lte2 갔다대고 찍었습니다.

목성도 잘보이던데. 어포컬 초점을 못맞추겠네요.



맨 위로

 요즈음은 쏟아지는 별을 보기가 참 어렵습니다. 도시의 빛이 별빛을 가리기 때문이죠. 그래서 시골로 가야만 많은 별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의 밤하늘에서도 볼 수 있는 천체들이 있습니다. 바로 달과 행성들입니다. 달과 행성은 별보다 밝은 편이어서 도시에서도 잘 보입니다.


 그 중 가장 밝고 크게 보이는 것은 달입니다. 그래서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달에는 어둡게 보이는 바다와 움푹 파인 구덩이를 포함해서 여러 가지 지형들이 있습니다. 옛날부터 달의 지형들을 보고 다양한 모양을 상상했습니다. 토끼나 꽃게, 두꺼비 등입니다. 달을 보면서 자신만의 그림을 떠올려 보면 참 재미있습니다. 달에서 가장 잘 보이는 부분은 바로 그림자가 지는 경계 부분입니다. 망원경으로 그림자 부분을 살펴보면 달의 울퉁불퉁한 구덩이를 정말 멋지게 잘 볼 수 있습니다. 또 날마다 변하는 달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도 아주 재미있어요.


 태양계의 행성은 모두 8개가 있습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죠.


 수성은 태양과 아주 가까이 있어서 보기가 쉽지 않아요. 그래서 수성을 보면 오래 살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어요.


 금성은 평소에 밤에 볼 수 있는 천제 중에 달 다음으로 두 번째로 밝아요. 때에 따라서 초저녁이나 해뜨기 전 새벽에 볼 수 있어요. 옛날 사람들은 금성을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렀는데요. 그 중에서 새벽에 뜨는 금성을 샛별이라 부르고, 저녁에 뜨는 금성을 개밥바라기라고 불렀어요. 개밥바라기는 개 밥그릇이라는 뜻인데요. 개가 저녁을 먹고 싶어할 때쯤 저녁 금성이 떠서 그렇게 불렀다고 합니다.


 화성은 붉게 보이는 행성입니다. 화성의 땅에 있는 철들이 녹이 쓸어서 그렇게 보인다고 합니다. 이 붉은 색깔 때문에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서양에서도 불길한 행성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에 가장 큰 행성입니다. 망원경으로 살펴보면 줄무늬를 볼 수가 있어요. 작은 망원경으로도 두 줄 정도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고 큰 망원경으로 살펴보면 더 많은 줄무늬를 볼 수 있습니다. 목성은 지구의 달과 같은 위성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가장 큰 4개의 위성은 작은 망원경으로도 잘 보입니다. 매일 달라지는 위성들의 위치를 살펴보면 참 재미있습니다.


 토성은 정말 아름답게 보이는 행성입니다. 고리가 보이기 때문이죠.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고리를 볼 수 있습니다. 토성을 처음으로 망원경으로 본 갈릴레이는 고리 때문에 귀가 달린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너무 멀어서 보기가 쉽지 만은 않습니다. 그래서 발견 된 것도 300년 정도 전으로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쏟아지는 별들을 보러 시골에 가는 것도 좋지만 집 근처에서 우리 지구와 가까운 달과 행성을 관측하는 것도 참 재미있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밤하늘에서 달과 행성들을 찾아보세요.


+ 새 글